아마추어 천문학::오늘감성 웃음이뿅
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아마추어 천문학

오늘은 아마추어 천문학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아마추어천문학

아마추어 천문학은 참여자가 천체를 연구하고 관측하는 것을 즐기는 취미활동으로 즐기는 것이다. 아마추어 천문가는 천문학을 직업으로 하거나 전공으로 학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고 취미로 천문을 연구,관측하는데, 아마추어들은 대개 초심자들이고, 일부는 높은 수준의 천문지식이 있어 종종 전문적인 천문가를 돕기도 한다.

 

보통 천체가 보이는 밤하늘을 관찰하지만, 때로는 대낮에 흑점이나 일식을 관측하기도 한다. 그들은 주로 맨눈으로 하늘을 관찰하지만, 흔한 장비로 휴대용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관측하기도 한다. 역사를 통해 사람들은 아마추어로써, 어떻 형식적인 방법이나 재정적지원없이 하늘을 연구해왔는데, 아마추어 천문학이 직업적인 천문학과 명확하게 구분된것은 불과 수세기 전 일이다.

 

 

아마추어천문학 관측대상


다양한 천체들과 현상들을 관찰하며, 달,행성,항성, 혜성, 유성우,성운, 성단,은하들을 관찰한다. 아마추어 천문사진은 밤하늘의 사진을 찍는 것으로, 최근에는 품질높은 CCD카메라의 보급으로 아마추어 전문가들에게 인기이다. 

대부분의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활동하지만, 실험적으로 가시외영역을 다루기도 한다. 아마추어 전파 천문학의 개척자로서 칼 잔스키는 1930년대에 전파 영역에서 하늘을 관측하였고, 이우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왔다. 가시광선 바깥의 영역에는 기존의 망원경에 적외선필터, 전파 망원경을 사용한 관측이 포함된다.

 

 

아마추어천문학 관측도구


아마추어천문가들은 각자의 기호와 여건에 따라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는데, 관측방법은 단순히 맨눈으로 밤하늘을 바라보는것이나 쌍안경을 이용하거나, 천체망원경을 이용하거나, 카메라와 같은 복잡한 장비를 추가하여 별빛을 관찰한다. 특화되고 숙련된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더욱 특화되고 성능이 좋은 장비를 갖추어왔지만, 경우에 따라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장비를 선호한다. 쌍안경은 대부분의 천체망원경보다는 배율이 낮지만,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이는 일부 천체를 관측하기에는 좋은 조건이 된다.

 

경험과 노력에 따라 성도(별자리판)을 이용하기도 한다. 성도는 간단한 평면천체도에서 밤하늘의 특정 영역이 매우 상세하게 그려진 것까지 있다. 성도를 만들어내는 것, 천문사진에 도움이 되는 것, 천문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계산을 수행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아마추어천문가들은 관측 내용을 관측일지의 형식으로 기록하기도 하는데, 관측일지는 전형적으로 관측대상과 시각, 관측된 세부 내용들이 기록된다. 때로는 스케치나 사진이 덧붙여지기도 한다.

 

 

한국의 아마추어천문학


기록상으로 한국에는 태양과 천체를 관측하는 직책이 삼국시대부터 있었는데, 이것을 시초라고 볼수있다. <혜성가>를 지은 융천사가 그 한예인데, 조선시대의 홍대용 또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거나 직업으로 천문학을 하지 않은 아마추어 천문가라고 할수있다. 예로부터 농사나 정세에 관한 점을 치기 위해 천문을 관측하기도 하였는데, 오늘날 남아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많은 수의 필사본은 조선시대의 일반인들도 천문에 관심이 많았음을 시사해준다.

 

한국의 현대사 속에 우주, 천문학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누가 왜 천문학자를 꿈꾸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이중 순수천문학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주에 있는 물체들의 본딜에 대해 우주의 모양과 역사에 대해 탐구하는 분야로,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왔다.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를 겪었던 1910년부터 1945년사이, 현대 천문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도약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1910년까지만 해도 천문학자들은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며, 우리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망원경의 등장으로 인해 관측은 더 정밀해지고, 우리 우주에 대한 생각조차 바뀌게 되었다. 우리은하로 부터 빠른속도로 멀어짐을 알게 되었고, 중심없이 빠르게 팽창하는 우주를 발견했던 때, 우주관의 대격변이 있었던 때가 이시기이다.

 

 

조선후기 우리의 순수천문학의 전통이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는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조선후기때는 서양천문학을 배울수있는 교육기관이 거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일본이 세웠던 학교들은 천문학 수업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미국에 의해 세워진 연희전문학교(연세대학교의 전신) 수물과에서 천문학 수업이 열렸는데, 관심을 가지는 이가 거의 없었다. 

 

단한명 최초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한국인으로 알려진 이원철 스승이 있었고, 미국으로 유삭을 가서 1926년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후 교수로 부임해 여러 분야에 강좌를 담당했다. 이원철은 대중 강연에 힘썼고, 과학에 대해 특히 천문 및 기상현상과 우주에 대해 알려주는 신문기사를 종종 쓰기도 했다.

 

순수천문학의 기회는 1958년에 이르러서야 열리게 되었는데, 서울대학교에 최초로 천문기상학과가 설립되어 천문학을 전공하는 신입생을 받기 시작했고, 1965년에는 한국천문학회가 결성되었다. 1967년에는 국립천문대 설치 제안서가 통과됨으로 1974년 완공되었다. 1973년에 한국천문학회가 세계천문연맹(IAU)에 가입해서 천문학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근대 이후로는 대한민국에서 1972년 쟈코비니 유성우 관측을 계기로 한국 아마추어 천문학회가 결성되어, 관측회와 자작 망원경 전시 등을 하기도 하고, 그 이후로 각 대학별로 천문 동아리가 결성되어 활동하고 있다.

 

 

일본의 아마추어천문학


일본에서는 취미와 야외활동의 일환으로서 천체 관측이 행해지는데, 관측을 기록으로 남기지 않고, 천체를 관측하여 '천체과망','천체감상'으로도 부른다. 천문대와 박물관이 개최하는 '별의 관찰회'와 캠프에서 별을 관찰하는 등 사회교육등이 행하여 지고있다. 또한 뉴스와 기상정보 등에서 보도되는 천체현상이 있을경우 각지의 천문연구회 등에서 주최하는 천체관측회가 열리기도 한다.

 

 

일본 환경성에서는 광공해와 대기 오염에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전국밤하늘계속관찰사업을 매년 여름과 겨울에 2차례 개최하고 있다. 천문대를 시작으로 박물관, 플라네타리움에서의 해설, 텔레비젼 방송의 출연, 천문잡지와 일반 서적의 저술 감수에 의해 천체 관측이 일반에 보급된다.

 

 

아마추어천문가의 사진


올해 초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달과 별의 환상적인 모습이 공개되어 이목을 끌기도 했는데, 이는 영국 에식스주에 거주하는 다위드 글로우진이 공개한 사진으로 완벽한 구체를 자랑하는 보름달의 모습과 우주의 한켠에 떠있는 수많은 별들을 생생하고 담고 있다.

오랜 시간과 고생덕분에 그는 오리온성운이나 지구에서 약250만관년 떨어진 안드로메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는데 성공했고, 지난해 '슈퍼 블러드 울프문'이 뜨고 지는 모습까지 촬영하였다. 

또한 장미성운은 장미꽃모양을 닮은 발광산광성운으로 약 4600광년거리에서 강력한 전파를 내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 것을 촬영하기도 했다. 

 

이 아마추어 천문학자는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과 한 인터뷰에서 "나는 평범한 보험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이라고 소개했고, 올해 7살된 아들도 나를 닮아 카메라로 하늘을 관찰하고 촬영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많은 아마추어 천문가들에 의해 지금의 천문학이 더욱더 빛을 발하고 좋은 지지자 역할을 해줌으로서 비약적인 발전을 도왔다고 할 수있다. 지금도 각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미래를 준비하며 천문학에 대해 발전 중이다.

 

기상이변과 같은 그런 현상이 잦아지고 있는데 그 원인과 기상관련된 이슈나 운석충돌등의 대비를 위해 천문학은 계속 나아가고 우주에 까지 가서 연구하고 밝히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천문학은 아직 머나먼 얘기같기도 하지만 분명 우리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항상 주시해야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도 긴 내용봐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 또 좋은 정보 가지고 오겠습니다.

블로그 찾아주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자와 우리나라의 천문기구  (2) 2020.03.12
이론천문학  (2) 2020.03.10
현대천문학의 동향과 장래, 관측천문학  (0) 2020.03.10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천문학  (0) 2020.03.09